보도자료
총 592개의 보도자료가 등록되었습니다.
-
<
- 하이넷 48번째 수소충전소, 충주휴게소(창원방향) 수소충전소 운영 개시
- 수소충전 거점으로서의 역할 기대 하이넷, 국내 수소충전시장 점유율 24% 달성수소에너지네트워크(이하 하이넷,대표이사 현 철)는 오는 18일 11시부터 충주휴게소(창원방향) 수소충전소의 상업운영을 시작한다. 충주휴게소(창원방향)수소충전소는 중부내륙고속도로 231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이넷의 48번째이자 중부내륙고속도로의 2번째 수소충전소다. 해당 사업은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에 하이넷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충주휴게소 내 운영중인 LPG 충전소 옆 유휴부지를 활용해 튜브트레일러와 수소충전차량의 효율적인 이동 동선을 고려해 설계 및 건축하였으며, 시간당 25kg의 충전(넥쏘 기준 5대, 버스 기준 2대)이 가능한 설비를 갖췄다. 충주휴게소(창원방향) 수소충전소는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운영시간은 08시~22시, 판매가격은 1kg당 9,900원 이다. 충주휴게소(창원방향)는 북충주IC와 충주IC가 인접하고 있고, 중부내륙고속도로 내 위치, 전체 교통량 중 45% 이상이 대형버스와 화물차이다. 물동량이 많은 부산과 서울을 잇는 가장 짧은 경로로 향후 수소버스와 수소화물차의 보급이 활성화 될 것에 대비, 수소연료전지차의 충전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크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해당 휴게소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과 수제 돈가스’가 ‘24년 상반기 가장 많은 판매 매출을 기록, 고속도로 이용객들에게 인기 있는 휴게소로 이번 수소충전소 상업운영을 계기로 탄소중립에 동참하는 휴게소임을 알릴 수 있게 되었다. 하이넷의 현철 대표이사는 “이번 충주휴게소 수소충전소의 상업운영으로 하이넷이 국내 수소충전시장에서 24%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했다”며 “국내 수소모빌리티 시장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관심에 감사하며, 계속해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하이넷은 수소충전 인프라 및 유통 활성화 사업을 주축으로 하는 수소 전문기업으로 수소 상용차 충전을 위한 대용량 수소충전소 구축 및 운영사업과 그린수소 유통사업까지 사업 저변을 확대해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 역량을 키워 나가고 있다.
-
<
- 하이넷 광양성황 수소충전소, 24년도 환경부 수소충전소 설치 민간보조사업 증설사업자 선정 쾌거
- 하이넷, 광양성황 수소충전소 증설사업 선정 ◦ 2024년도 환경부 수소충전소 설치 민간자본보조 증설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승용‧버스‧트럭 등 전방위적인 수소 모빌리티 충전 수요를 수용하는 전남도 내‘거점형 수소충전소’의 역할 기대 전남 광양시 내 승용‧버스‧트럭 등 전방위적인 수소 모빌리티의 충전 수요를 수용하는 수소충전소가 운영될 계획이다. 국내 최다 수소충전소 운영사인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 (이하 하이넷, 대표이사 현철)는 광양성황 수소충전소의 증설공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이넷은 지난 13일 환경부(역무대행 : 한국자동차환경협회)가 공모한 ‘24년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소 설치 민간자본보조사업’에서 일반형 수소충전소의 증설 사업자로 선정되어 기존 1기로 구축되어있던 광양성황 수소충전소를 버스·트럭까지 충전할 수 있는 대용량 충전소로 전환할 계획이다. 2021년 환경부의 사업으로 구축된 하이넷 광양성황 수소충전소는 ‘22년 개소 이후 광양시를 비롯한 전남지역 수소차 운전자들은 물론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충전 편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어 왔다. 최근 수소 상용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현재 광양시와 순천시의 버스업체와 충전 계약을 맺고 총 17대의 수소 버스를 충전중에 있다. 광양시는 2030년까지 수소승용차 500대와 수소버스 60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현재 기준 수소 승용차는 누적 162대, 수소버스 10대의 보급이 완료된 상태이다. 광양성황 수소충전소는 지리적으로 동광양IC와 마동IC가 인접해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으로 평상시에도 충전소 이용객들이 많아 용량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또, 초기 구축시 이러한 수요 확대를 고려해 압축기와 저장용기, 충전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사전에 마련해 빠른 시일 내 증설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넷은 수소 충전 인프라 및 유통 활성화 사업을 주축으로 하며 국내 단일 기업으로 가장 많은 규모인 55기의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수소전문기업이다. 최근 장흥정남진휴게소와 충북 음성군 맹동면 일반산업단지 내 수소충전소를 순차적으로 개소 완료하였으며, 앞으로도 수소 승용차뿐만 아니라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용 차량의 충전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존 충전소의 용량 확대 및 상용형 충전소 구축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끝.
-
<
- 수도권 교통 중심 광명시에 첫 수소·전기 복합 충전소 운전 돌입하이넷 광명소하 수소충전소 5월 4일 개소
- 수도권 교통 중심 광명시에 첫 수소·전기 복합 충전소 운전 돌입 하이넷 광명소하 수소충전소 5월 4일 개소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 (대표이사 도경환, 이하 하이넷)의 27번째 수소충전소, 하이넷 광명소하 수소충전소가 5월 4일 오전 준공식을 마치고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해당 충전소는 2021년 환경부(한국자동차환경협회 역무대행)가 공모한 「수소충전소 민간자본 보조사업」에 하이넷이 선정 1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진행하게 되었으며 하이넷과 기아자동차가 민간자본을 투입해 수소충전기 1기, 전기충전기 6기(초고속 4기, 고속 2기)를 설치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2021년 6월 하이넷, 광명시, 기아 AutoLand 관계자들은 광명시 내 첫번째 수소충전소 설치 필요성을 공감하고 상호 간 인허가, 부지제공, 전기 충전기 설치 지원 등의 내용을 포함한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아 AutoLand 광명 앞 부지에 구축되었다. 하이넷 광명소하 수소충전소는 상업운영을 하기에 앞서 5월 2~3일 양일간 시운전을 진행하며 안전에 더욱 신경을 썼다. 광명소하 수소충전소는 지리적으로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광명수원고속도로 진출입로에 위치하며 해당 지역은 차량이동량이 많은 지역으로 수소·전기차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의 충전 편의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번 광명시 1호 수소충전소가 개소됨에 따라 광명시가 추진하고 있는 탄소중립 정책 및 친환경차 보급 사업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광명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관내 등록된 수소자동차는 48대이며, 시는 올해 30대를 보급하고 수소자동차 수요를 감안해 2023년까지 총 150 여대의 수소자동차 보급 목표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진행되는 준공식에는 안세창 수도권대기환경청장, 박승원 광명시장, 기아 AutoLand 광명 유철희 공장장,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 소하지회 김창우 지회장을 비롯한 수소 산업 관련 업계 관계자들도 축하를 위해 참석하였다. 하이넷 광명소하 수소충전소는 주 6일(일요일 휴무) 오전 8시 ~ 오후 8시까지 하루 12시간 운영될 예정이며, 시간당 25kg을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압축 패키지와 고압 및 중압 압축가스설비 등으로 구성, 수소승용차와 수소트럭, 수소버스 모두 충전이 가능하다. 승용차의 경우 일 평균 60대(넥쏘 기준), 버스의 경우 일 평균 12대 이상 충전할 수 있다. 충전시간은 대당 3~6분 정도 소요되며 수소 판매가격은 8,800원/kg이다. 또한, 2022년 환경부 민간자본 보조사업 공모를 통해 수소충전소 1기 추가 증설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충전 편의성 확대를 위해 시간당 50kg 이상 충전할 수 있는 용량으로 빠른 시일 내 증축에 들어갈 계획이다. 하이넷은 우리나라의 균형잡힌 수소경제 연착륙과 안정적인 수소 유통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지난주 하이넷 광양성황 수소충전소 개소 이후 연이어 수소충전소 개소 소식을 전하면서, 전국 최대 규모의 수소충전소를 운영(28개소)하고 있으며 조만간 국내 수소충전소 시장 점유율 30% 달성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하이넷 도경환 사장은 “광명시 첫번째 복합 수소충전소가 개장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수도권대기환경청, 광명시 및 유관기관 관계자분들에게 감사하다면서 수소차, 수소충전소 보급 확대는 수송분야 탄소중립 사회실현의 새로운 물결로써 하이넷이 쾌적한 미래사회를 앞당기는 마중물이 되기 위해 환경부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끝>
-
<
- 경기 서부지역 최초 수소충전소,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 30일 개소
- 경기 서부지역 최초 수소충전소,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 30일 개소하이넷의 24번째 수소충전소, 수도권 지역의 수소충전 편의성 상승 기대 수도권 지역 수소 차량 운전자들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가 30일부터 본격 상업 운영을 시작한다. 경기 서부지역의 첫 번째 수소충전소로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 (대표이사 도경환, 이하 하이넷)가 구축한 24번째 수소충전소이다.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는 2020년 환경부가 공모한 ‘수소충전소 민간자본 보조사업’을 통해 구축되어왔으며 총 사업비는 30억원으로 국고 15억원, 하이넷의 민간자본 15억원이 투입되었다.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는 김포시 감암로 127 ‘걸포동 CNG 충전소’ 내 위치해 승용차와 버스 모두 충전이 가능하며, 일산대교와 걸포 IC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인근 지역의 수소차량 운전자들의 충전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올 해 2월 기준, 수도권 지역 내 운행되고 있는 수소 차량은 전체 7,100여대이다. 서울, 인천에는 각 5개씩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 전역에 16개의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차량을 수용하기엔 역부족이다. 이런 상황에서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의 운영 개시 소식은 정부의 수소충전소 보급 계획 및 수소 차량 보급 계획에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이넷 김포걸포 수소충전소는 오전 8시 ~ 오후 8시까지 하루 12시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은 휴무이다. 시간당 25kg을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압축 패키지와 고압 및 중압 압축가스 설비 등으로 구성, 승용차와 버스 모두 충전이 가능하다. 승용차의 경우 일 평균 약 70대(넥쏘 기준), 버스의 경우 일 평균 약 12대 이상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시간은 대당 3~6분 정도 소요되며 수소판매가격은 8,800원/kg이다. 지난주 하이넷은 속리산휴게소 내 수소충전소를 오픈하고 계속해서 신규 수소충전소 구축 소식을 전하고 있다. 하이넷은 2019년 설립 이후, 환경부의 수소충전소 민간보조사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국회, 정부세종청사, 인천공항을 포함해 전국 86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 및 운영하며 정부의 ‘수소 경제 이행 기본 계획’에 맞춰 대한민국의 안정적인 수소 충전 인프라 확산과 수소차량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 ‘친환경에너지 인프라 전환 협약’과 ‘미래차 메가스테이션 조성 시범사업’, ‘셀프 수소충전소 구축’ 등 수소 에너지의 대중화를 이끌며, 대한민국의 에너지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끝>
-
<
- 미래 에너지 스테이션으로 대전환하는 주유소·LPG충전소
- 미래 에너지 스테이션으로 대전환하는 주유소·LPG충전소 전국 1만3천여개 주유소·LPG충전소, 수소충전소로 사업전환하이넷 · 코하이젠 · 한국주유소협회 · 한국LPG산업협회 공동 MOU 체결 (좌측부터)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상범 한국lpg산업협회 회장, 유재명 한국주유소협회 회장, 도경환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 대표이사김부겸 국무총리, 이경실 코하이젠(주) 대표이사, 홍남기 경제부총리, 한정애 환경부장관 수소에너지네트워크(하이넷)·코하이젠·한국주유소협회·한국LPG산업협회가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전환 및 수소충전소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동 협약은 2021.11.26. 개최된 제 4차 수소경제위원회의 사전행사로 개최되어 김부겸 국무총리, 홍남기 경제부총리,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정애 환경부 장관의 배석하에 진행되었다. 이번 협약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공급하던 주유소 및 LPG충전소 업계와 미래에너지를 상징하는 수소충전소 업계 간의 에너지 전환과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을 정부와 업계가 함께 고민하여 마련한 협약으로서 협약의 주요 내용은:주유소와 LPG충전소 업계는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부지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하이넷과 코하이젠은 제공된 부지를 활용하여 자체 자금과 정부 예산 지원 등을 통하여 전국에 수소충전소를 구축 및 운영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이넷과 코하이젠은 전국의 1만 3천여개의 주유소와 LPG충전소 중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여유 부지를 확보한 주유소·LPG 충전소와 휴·폐업 주유소·LPG충전소를 대상으로 적합성을 검토한 후 구축이 가능한 부지에 순차적으로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전세계적인 탄소중립 노력에 부응하여, 화석연료를 공급해오던 기존의 주유소와 LPG충전소가 향후 수소와 전기 등을 충전하는 미래에너지 스테이션으로 대거 전환한다는 점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특히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접하는 생활 밀접 시설에서 탄소중립을 체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최초로 수소인프라 구축 전문회사로 설립된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대표: 도경환)와 코하이젠 (대표: 이경실)은 그동안 2030년까지 전국에 660개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는 정부의 목표에 따라 2019년 이후 지속적인 수소충전소 구축 작업을 진행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가장 걸림돌이 되어 왔던 적정 부지 확보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여 왔다.반면 최근 자동차업계의 내연기관 차량 단종 선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 등으로 인하여 주유소와 LPG충전소 업계는 사업영역 축소에 따른 심각한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수소충전소로의 전환은 기존의 사업형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매력적인 방안으로 판단하였으며, 수소충전소 업계의 입장에서도 도심지 또는 차량 통행이 많은 기존 주유소·충전소 부지를 활용함에 따라 수소충전소 구축이 용이해져 상호간의 이득이 되는 상생 협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동 협약을 계기로 양 업계는 친환경적 사업전환 및 수소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저해하는 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정부에 개선 건의할 계획이며, 국민 생활 밀접한 곳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함으로써 수소자동차의 친환경성과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 인식의 긍정적인 전환을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끝>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3/20)
- 이투뉴스/수소충전소 운영사업자 “수익구조 개선 시급” 호소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064 가스신문/제한된 공급으로 수소충전소 축소 운영···수소차 운전자 '한숨’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407 경북도민일보/플랜텍, 그린수소 생산사업 속도낸다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404 신소재경제/인천시,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190억 투입https://amenews.kr/news/view.php?idx=61173 전기신문/인천공항공사, 스키폴 공항과 친환경 수소공항 협력 강화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2012 에너지경제/평택시, 한국청정수소진흥연구원 개원...“청정한 수소 도시로 한 걸음 더!”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319027128037 에너지데일리/“에어레인, 국내 최초 연료전지 CO₂ 포집 성공했다”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244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3/12)
- 가스신문/日, 스마트 에너지 위크 봄 2025, 신형 연료전지 등 탈탄소화 기술 관심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302 전기신문/친환경 수소 경제 핵심, 저온·저압 암모니아 합성 촉매 개발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1718 가스신문/[인터뷰] 울산도시공사 에너지사업팀 이종규 팀장 “수소사업 여건 좋지만, 정부 지원 필수”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300 신소재경제/유틸리티, 제강 공정 발생 부생가스 이용 수소 생산https://amenews.kr/news/view.php?idx=61053 세계일보/탄소중립·에너지 안보 주춧돌… 韓, 기술력 앞세워 반등 노린다 [심층기획-차세대 전력원 ‘소형모듈원자로’ 개발 속도]https://www.segye.com/newsView/20250311516059?OutUrl=naver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3/07)
- 파이낸셜뉴스/그린수소 생산단가를 4달러까지 낮출 수 있다https://www.fnnews.com/news/202503060939348921 디지털타임스/`국산화 신화`…한국가스공사의 담대한 도전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30502109902054003&ref=naver 파이낸셜투데이/[K수소경제 현주소] ④공급난 허덕이는 K-수소업계...개질수소 등 활용해야https://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7212 이데일리/中언론 "AI·수소배터리 투자하는 200조원 규모 펀드 조성 임박“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36246642100696&mediaCodeNo=257&OutLnkChk=Y 에너지경제/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흥행…CCUS 활용 등 현실적 대안 마련 필요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305025332661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2/28)
- 울산제일일보/울산시-덕양가스, 180억 들여 블루수소 충전소 만든다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2998 에너지플랫폼뉴스/천연가스수소차량協 신임 회장, 오기석 가스공사 수소사업처장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91689 가스신문/전국 수소충전소 10곳 중 1곳은 미운영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152 아시아투데이/[르포] 수소 산업 ‘도약’ 열쇠는 ‘인재’ … 구직자 몰린 채용박람회 현장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7010014994 에너지신문/수소연합-남부발전, 청정수소발전 활성화 ‘맞손’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123 뉴데일리/여수에 '연간 10만t' 규모 수소 클러스터 들어선다https://gj.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7/2025022700044.html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2/27)
- 한국일보/경북, 기체인 수소를 고체 금속에 저장… 안전한 청정에너지 수소시대 선도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2609270005722?did=NA 에너지신문/[기획] 가스기술공사, 수소산업 이끄는 '퍼스트무버’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034 글로벌이코노믹/토요타, 공급망부터 시작 일본 내 수소 네트워크 확장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22619292920880c8c1c064d_1/article.html 가스신문/韓, APEC 10개국 대상 수소기술 표준 전문지식 전수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133 파이낸셜투데이/[K수소경제 현주소] ①소비자들이 수소차 구입을 망설이는 이유https://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317 투데이에너지/[에너지 인사이트] 수소 연료전지, 발전용으로 각광받는 이유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0045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2/26)
- 투데이에너지/"수소 산업, 수소연료전지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중심으로 성장“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0043 가스신문/한-호주 기업, 기후·에너지·공급망 분야 협력 확대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119 뉴스1/울산시,'수소산업의 날' 개최…"산·학·연 협력체계 강화“https://www.news1.kr/local/ulsan/5701585 가스신문/환경부, ‘2025년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생산시설 설치사업’ 공고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080 이투뉴스/묘도 LNG터미널 이어 ‘수소 클러스터’ 본격 시동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7439
-
<
- 수소 관련 주요 소식(02/25)
- 한국경제/가스발전소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100% 분리…'발전용 증기' 뽑아낸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440551 공학저널/바이오가스부터 청정수소까지,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 만든다http://www.eng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8 전북일보/매년 치솟는 수소값 상승에 소비자 '울상’https://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60082 임팩트온/BMW, 수소 트럭 시장 진출… 현대차와 유럽 수소차 경쟁 본격화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44 매일경제/GS칼텍스, 저탄소 신사업 확대…지속가능한 포트폴리오 구축 나서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11248833